Python/Python Concept
[Python] 문자열 함수
군우
2018. 1. 7. 16:06
문자 갯수 : count()
a="123453333"
a.count('3')
a="123453333"
print(a.count('3')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위치 알려주기: find()
a = "find1234567"
print(a.find('1'))
print(a.find('0'))
=
4
-1
# '1' 이 가장먼저 나온 위치를 알려주는 함수
# 문자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-1을 리턴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위치 알려주기: index()
a = "Marry chrismas"
# print(a.index('t')) # t의 위치 리턴,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다.
print(a.index('a')) # t의 위치 리턴, 2개 존재하지만 제일 처음 나온위치정보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문자열 삽입: join()
a = "Marry chrismas"
print(a.join('@@@@'))
=
@Marry chrismas@Marry chrismas@Marry chrismas@
# a에 있는 문자의 사이 사이에 넣는 것이 아니고, join안의 각 문자의 사이에 넣는다!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문자 대문자로 바꾸기: upper()
a = "Marry chrismas"
print(a.upper())
MARRY CHRISMA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문자 소문자로 바꾸기: lower()
a = "Marry chrismas"
print(a.lower())
marry chrisma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왼쪽 공백지우기: lstrip()
오른쪽 공백지우기: rstrip()
양쪽 공백지우기 : strip()
#1
a = " Marry chrismas "
print(a.lstrip())
#2
a = " Marry chrismas"
print(a.rstrip())
#3
a = " Marry chrismas "
print(a.strip())
=
Marry chrismas
Marry chrismas
Marry chrisma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문자열 바꾸기 : replacep()
a = "Marry chrismas"
print(a.replace('chrismas','hi'))
=
Marry hi
# replace("바꿀 문자열","바꾼 후 문자열"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문자열 나누기 : split()
#1
a = "Marry chrismas"
print(a.split())
=
['Marry', 'chrismas']
# split(), 괄호 안에 아무 것도 없을경우 공백을 기준으로 나뉜다.
#2
a = "Marry chrismas"
print(a.split('r'))
=
['Ma', '', 'y ch', 'ismas']
# split('r') 괄호안의 문자를 기준으로 나눈다.
이때 그 문자는 기준으로 없어지는 것 같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문자 포매팅 : format()
#1
print("123{}567".format('4'))
=
1234
#2
print("123{}567".format(4))
print("123{0}567{1}9".format('4','8'))
print("123{0}567{0}9".format('4','8'))
=
1234567
123456789
123456749
# .format 을 이용하면 바로 대입할 수 있다.
{} 안의 수는 format 안의 대입할 자리 수를 의미 한다
#3
print("123{number}567{num2}9".format(number =4, num2=8))
print("123{number}567{num2}9{num3}".format(number =4, num2 = 8,num3=10))
print("123{0}567{num2}9{num3}".format(4, num2 = 8, num3 = 10)) #이건되는데
print("123{0}567{1}9{2}".format(4, 8, 10)) #이건 됨
#print("123{0}567{num2}9{2}".format(4, num2 = 8, 10)) #이건 안됨
=
123456789
12345678910
12345678910
12345678910
#4 정렬
print("{0:<10}".format("1")) # < 왼쪽 정렬
print("{0:>10}".format("1")) # > 오른쪽 정렬
print("{0:^10}".format("1")) # ^ 가운데 정렬
print("{0:=^10}".format("1")) # ^ 공백채우기 ^ 전에 문자를 빈곳에 채운다
print("{0:0.4f}".format(3.1415921212)) # 소수점 표현
=
1
1
1
====1=====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정리!
replace()
split()
rstrip()
lstrip()
strip()
index()
join()
upper()
lower()
find()
count()
format(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