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nu

블로그 이미지
by 군우

TAG CLOUD

  • Total hit
  • Today hit
  • Yesterday hit

이번에  추상전 까지 들어간다고하셨음


오버로딩 : 하나의 이름으로 여러개의 함수를 만드는 기법, => 다형성

매개변수의 형태나, 매개변수의 갯수가 달라야함.

오버로딩을 사용하는 이유  

1.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서

2. 함수 이름 하나로 여러가지 작업에 대처할 수 있으므로


연산자오버로딩.

operator X 키워드

연산자 오버로딩을 위해서 사용되는 키워드는 operator 입니다그리고 X 부분은 오버로딩할 연산자입니다

우리는 덧넷,뺄셈,곱셈을 정의할 것이기에 X  +, - , * 이 되겠네요


연산자 오버로딩

heap  스택   인거 확인 잘하고  시험문제 나올듯

근데 쉬워서 맞춘다.   선언은 stack 이고 참조변수의 값은 heap이거 

상속(inheritance) :  

단계별 상속:   2단계이상 상속을 말한듯


sealed  :  상속금지 키워드   public sealed class 클래스명 {}  이렇게 씀

 


생성자 (constructor) :   heap에 있는 메모리 . 

클래스정의시 반드시 생성자를 정의해야한다.

소멸자 (destructor) : 

생성자와 소멸자의 호출순서:   생성자만 기억하면  될거같음. 

부모클래스가 먼저 호출되는걸 알아두고 문제 풀면될듯.

출력 써라 할때 부모클래스의 출력문이 먼저나오는걸 생각하면될듯


상속관계애서 private와 public, protected  

protected : 상속받는 자식클래스만 이용한다는 거 문제.

오버라이딩:  재정의  , 

상속받은 메소드를 재정의 할때  new를 사용해야한다,

new 를 통해 구분을 해줘야함,  new public void Method(){}

this : 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참조 변수.  

this() :  생성자를 호출하는 방법은 

base 키워드 :  this와 반대로 부모클래스를 지칭하는 참조변수 이다.


public abstract void Draw(); // 이렇게 상위 클래스에섳 추상메소드를 만들면

 상위클래스를 상속하는 하위 클래스들은 모두 

이 추상 클래스를 재정의 한다, 

AND

ARTICLE CATEGORY

분류 전체보기 (197)
C (0)
HTML (7)
C# (88)
Python (27)
IT (0)
Android (2)
Java (65)
Study (5)
JavaScript (1)
JSP (2)

RECENT ARTICLE

RECENT COMMENT

CALENDAR
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
ARCHIVE

LINK